728x90
🐬 날으는물고기
🐬 최근 게시글
-
다중모달 AI 모델 사용하기 — Docker Model Runner 중심 가이드 다중모달(multimodal) AI의 개념부터 Docker Model Runner(DMR)로 텍스트·이미지·오디오 입력을 처리하는 실전 방법, 내부 운영/보안 가이드, 점검 포인트까지 한 번에 볼 수 있습니다.개요 & 배경다중모달 AI는 하나의 모델이 텍스트·이미지·오디오 등 서로 다른 입력을 동시에 이해하고 결합해 답을 생성하는 기술입니다. 예를 들어 “이 사진에 뭐가 보여?”(이미지+텍스트), “이 오디오를 한 단어로 받아써”(오디오+텍스트) 같은 작업을 한 모델에서 수행합니다.Docker는 Model Runner로 로컬에서 이런 모델을 간단한 CLI와 OpenAI 호환 API로 실행/제공할 수 있게 했습니다. Gemma3, Moondream2, SmolVLM 등 이미지+텍스트 입력을 받는 모델 예시..
-
Kafka 클라우드 전환 전략: 오브젝트 스토리지 시대의 보안과 안정성 Apache Kafka의 “디스크리스(Diskless)” 또는 “직접 S3(오브젝트 스토리지) 적용” 설계 방향의 기술 배경 및 고려할 점입니다.개요 및 배경최근 Kafka 커뮤니티에서는 여러 KIP (Kafka Improvement Proposal) 가 동시다발적으로 제안되었고, 그 중심 주제는 바로 클라우드 가용영역(AZ) 간 복제 비용 및 오브젝트 스토리지 활용입니다.단순히 기술적 선택지로만 다루는 것이 아니라, Kafka가 앞으로 “어떤 시스템이 될 것인가?”라는 방향성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습니다.요약하자면전통적으로 Kafka는 디스크 기반 로그 세그먼트를 이용해, 리더-팔로워 복제 모델로 데이터를 보관하고 높은 처리량/낮은 지연(latency)을 확보해 왔습니다.그러나 클라우드·멀티 AZ 환경에..
-
공급망 위협을 차단하는 gVisor 기반 GitHub Actions 샌드박스 전략 왜 샌드박스가 필요한가문제: GitHub Actions는 기본적으로 같은 VM 안에서 여러 step이 실행됩니다. 한 단계에서 악성 코드가 실행되면 다음 단계나 캐시, 러너 환경까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캐시 토큰 오용(포이즈닝)과 체크아웃 토큰 노출 등 공급망(Supply Chain) 리스크가 현실적인 위협입니다.해결: 각 명령을 gVisor 샌드박스 안에서 실행합니다.루트 파일시스템: Ubuntu 24.04 유사 환경.툴 디렉터리(RUNNER_TOOL_CACHE): 읽기 전용 마운트.워크스페이스(GITHUB_WORKSPACE): 오버레이(기본 비영속, 변경사항이 호스트에 자동 반영되지 않음).효과: 단계 간 격리 강화, 캐시/토큰 남용에 따른 피해 확산 억제, 외부 PR/오픈소스 의존성 검증..
-
AI 리터러시 실행 로드맵: 문제정의→프롬프트→검증→운영 “기본 → 개념 → 배경 → 흐름 → 실전 → 보안/윤리 → 실행 계획”AI 리터러시는 AI를 이해하고(개념), 일에 쓰고(활용), 결과를 검증하며(비판적 사고), 책임 있게 운영(보안·윤리·거버넌스)하는 전체 능력입니다. “왜/무엇/어떻게”를 체계적 로드맵으로 정리해 바로 적용할 수 있게 돕습니다.왜 지금 AI 리터러시인가?업무 생산성의 기본기: 문서 작성, 요약, 번역, 데이터 분석, 코드 리뷰까지 모두 AI로 가속.위험 관리의 필수기: 환각(hallucination), 저작권/개인정보, 프롬프트 유출, 자동화 실수.조직 경쟁력의 분기점: “개인이 잘 쓰는 수준”을 넘어 팀/조직 표준 운영이 성패를 가릅니다.핵심 정의(기본/개념)AI 리터러시 =① 이해(Understanding): AI의 원리·한계 ..
-
AI의 새 물결 — 인프라·창작·로봇까지 진화한 한 주 정리 엔비디아 × 한국 — “AI 인프라 시대의 서막”젠슨 황 CEO가 APEC CEO Summit에서 한국에 26만여 대의 GPU 공급 계획을 발표.삼성전자, SK, 현대차 등과의 협력으로 국가 단위 AI 인프라 구축이 본격화됩니다.정부와 기업이 함께 AI 데이터센터·전력·인재를 묶은 주권형(Sovereign) AI 전략을 강화하는 모습입니다.👉 핵심 의미한국이 글로벌 AI 생태계의 ‘훈련 허브’로 부상.앞으로 더 많은 초대형 모델과 맞춤형 AI 서비스가 국내에서 직접 학습·운영될 가능성이 큽니다.OpenAI — “2028 완전 자동화 연구원”샘 알트만이 2028년까지 AI가 스스로 연구하는 시스템을 만들겠다고 발표했습니다.동시에 안전 추론 모델 gpt-oss-safeguard(20B·120B 규모)를 공..
-
“APEC 2025 이후, 한국은 AI·로보틱스 허브로 간다” 젠슨 황 메시지 AI·로보틱스, 이제는 한국의 차례다 — APEC 2025와 엔비디아의 시그널 한눈에 보기 (TL;DR)AI 반도체–데이터센터–모빌리티–로보틱스가 하나의 가치사슬로 연결됩니다.삼성·SK는 HBM(고대역폭 메모리)로, 엔비디아는 차세대 GPU로, 한국 기업들은 메가 데이터센터와 응용 서비스로 각자 강점을 더합니다.현대차그룹·네이버 등은 SDV(소프트웨어 정의 차량), 자율주행, 주권형 AI(Sovereign AI), 디지털 트윈에서 속도를 냅니다.휴머노이드·물리적(Physical) AI는 제조·물류·서비스 현장으로 확산 준비 중입니다.결론: 한국은 메모리-인프라-서비스-제조를 잇는 실행형 허브로 도약할 타이밍입니다.왜 이번 이슈가 중요한가“AI는 모든 시대 최고의 기술”이라는 메시지가 한국 파트너와의 구체..
-
구의 겉넓이 공식, 공학자의 시선으로 보는 표면적 측정 기본 개념정의: 구의 겉넓이는 구 표면 전체의 면적입니다.공식: 4 × π × r²(r은 구의 반지름입니다.)예를 들어,반지름 r = 2cm → 4 × π × 2² = 16π ≈ 50.27 cm²반구(hemisphere)윗부분(곡면)만: 2πr²밑면 원까지 포함: 3πr²왜 4배일까? (직관적인 이해)① 오렌지 껍질 실험구를 얇게 띠 모양으로 잘라서 평평하게 펼치면,띠 하나의 넓이는 원둘레(2πr) × 높이(r × dθ)가 됩니다.모든 띠를 더하면 결국 전체 면적은 4πr²가 됩니다.② 원통 비교 (아르키메데스의 통찰)구를 감싸는 원통의 옆면적 = 원주(2πr) × 높이(2r) = 4πr²즉, 구 표면적은 원통 옆면적과 같습니다.③ 부피로 확인하기구의 부피: (4/3)πr³반지름을 미세하게 늘릴 때의 부..
-
학교에서 안심하고 쓰는 무료 폰트! 교육부 인증 ‘학교 안심폰트’ 21종 공개 교육부(이하 교육부)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KERIS)이 새로 보급하는 ‘학교 안심폰트’입니다.개요 및 배경● 정책 · 목적교육부와 KERIS는 학교 현장에서 저작권 부담 없이 자유롭게 활용 가능한 폰트를 제공하고자 ‘학교 안심폰트’ 사업을 시행해 왔습니다.이번 개편으로 21서체 21종을 신규 보급한다고 10월 28일 발표했습니다.기존에 3년간 제공된 44서체 67종 → 이번 21서체 21종 추가 → 총 65서체 88종 제공됨. → 발표문 인용.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학교 교육자료, 가정통신문, 학급 소식지, 교내 안내문 등에서 폰트 저작권 걱정 없이 활용 가능하도록 지원서체 선택 폭을 넓혀 다양한 디자인 · 활용환경에 대응교육현장에서 저작물 이용 안전성을 확보하고, 교직원과 학생이 자유롭게 활..
-
구글 Gemini 3.0 — 멀티모달 AI의 새로운 시대를 여는 진화 2025년 말 출시가 예고된 Google Gemini 3.0은 인공지능 기술의 다음 단계를 보여주는 대규모 업그레이드로 평가받고 있습니다.이번 버전은 단순한 성능 향상을 넘어, 실제 세상과 연결된 멀티모달 AI 시대의 개막을 예고하고 있습니다.출시 시기와 방향구글 CEO 순다르 피차이(Sundar Pichai)는 공식적으로 “올해(2025) 안에 Gemini 3.0을 출시한다”고 밝혔습니다.이는 Gemini 1·1.5·2 시리즈를 거쳐 완성된 통합형 AI 생태계의 본격적인 상용화를 의미합니다.Google은 이번 버전을 통해 검색, Android 16, Workspace 등 자사 서비스 전반에 AI를 한층 깊게 통합할 계획입니다.주요 변화와 신기능① 멀티모달 능력 강화Gemini 3.0은 텍스트, 이미지,..
-
올해 가장 큰 달이 뜬다! 하늘에서 가장 가까운 달 🌕 슈퍼문 관측 꿀팁 11월 5일 밤, 올해 가장 가까운 보름달인 슈퍼문이 뜹니다.슈퍼문이란 무엇인가요?🌑 한 줄 정의: 달이 지구에 가장 가까운 구간(근지점) 근처에 있으면서 보름달이 되는 때를 슈퍼문이라고 부릅니다.🌓 왜 특별해 보이나요?달 궤도는 완전한 원이 아닌 타원이어서, 지구와의 거리가 계속 바뀝니다.가까울 때(근지점) 뜨는 보름달은 조금 더 커 보이고 더 밝아 보입니다.🌕 얼마나 자주 오나요?1년에 보통 3~4번 정도 찾아옵니다. 매달 있는 건 아니고, 몇 달 간격으로 몰려올 때도 있습니다.슈퍼문의 원리와 주기, 쉽게 이해하기두 개의 시계가 따로 돈다보름달 주기(태음월): 보름달에서 다음 보름달까지 약 29.53일거리 주기(근지점~근지점): 달이 가장 가까운 지점으로 돌아오는 데 약 27.55일이 두 주기가..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