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영체제 (LNX,WIN)704

728x90
Lenovo Superfish 애드웨어 삭제 □ 개요Lenovo社는 자사 노트북 등에 취약점이 존재하는 악성 애드웨어 Superfish를 설치한 후 출고한 것을 공지하고, 해당 악성 애드웨어 삭제를 권고공격자가 해당 애드웨어의 취약점을 악용할 경우 전송 데이터 변조 및 도청 등의 공격이 가능할 수 있으므로 해당 악성 애드웨어 반드시 삭제* 애드웨어(Adware) : 사용자의 동의 없이 설치되어 광고 등을 노출하는 프로그램 □ 설명Lenovo社의 웹서버와 악성 애드웨어가 설치된 Lenovo社 제품 간 전송 데이터 변조 및 도청 등이 가능한 취약점 □ 영향 받는 제품G Series : G410, G510, G710, G40-70, G50-70, G40-30, G50-30, G40-45, G50-45, G40-80U Series : U330P, U430.. 2015. 2. 23.
아래한글 DLL 하이재킹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 개요 o 한글과컴퓨터社의 한글 등 오피스 프로그램에서 DLL 하이재킹 취약점이 발견됨 [1] - 사용자가 특수하게 조작된 DLL 파일과 동일한 디렉토리 경로에 존재하는 정상파일을 한글 프로그램을 통하여 열람 및 추가 기능을 사용 할 경우, 임의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영향 받는 버전의 사용자는 악성코드 감염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해결방안에 따라 보안 업데이트를 권고함 □ 해당 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 해결 방안 o 한글과컴퓨터 홈페이지에서 보안업데이트 파일을 직접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여 영향 받지 않는 버전(보안#26)으로 업데이트 - 다운로드 경로 : http://www.hancom.co.kr/downLoad.downPU.do?mcd=001 o 한글과컴퓨터 자동 업데이트를.. 2015. 2. 17.
윈도우 커널 취약점 등 MS 보안업데이트 9종 □ 2월 보안업데이트 개요(총 9종) o 발표일 : 2015. 02. 11 (수) o 등급 : 긴급(Critical) 3종, 중요(Important) 6종 o 업데이트 내용 □ 특이사항 o 2월 보안 업데이트 9종 중 긴급은 3종임 [MS15-009]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 업데이트□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원격코드 실행□ 설명 o 사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웹페이지에 접속할 경우 원격 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관련취약점 : - 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 – (CVE-2014-8967, CVE-2015-0017~23, CVE-2015-0025~31, CVE-2015-0035~46, CVE-2015-0048~50, CVE-2015-0.. 2015. 2. 11.
리눅스 Ghost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 개요 o 미국 US-CERT는 리눅스 GNU C 라이브러리(glibc)에서 임의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취약점(CVE-2015-0235)이 발견되었다고 발표 ※ CVE-2015-0235는 해당 라이브러리의 gethostbyname( ) 함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버퍼오버플로우 취약점 ※ GNU C 라이브러리 : 리눅스 계열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 취약점 내용o 라이브러리에 존재하는 특정 함수(__nss_hostname_digits_dots( ))의 잘못된 메모리 사용으로 인해 오버플로우가 발생하여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 변경이 가능 ※ __nss_hostname_digits_dots( ) 함수 : 도메인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할 때 사용하는 함수인 gethostbyname( ).. 2015. 1. 28.
Adobe 제품군 신규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개요Adobe社는 Flash Player, Adobe AIR 등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1]낮은 버전 사용자는 악성코드 감염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해결방안에 따라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 설명파일 검증 부재 취약점(CVE-2015-0301)키보드 입력 값 가로채기가 가능한 정보노출 취약점(CVE-2015-0302)임의 코드 실행이 가능한 메모리 접근 가능 취약점(CVE-2015-0303, CVE-2015-0306)임의 코드 실행이 가능한 힙 버퍼오버플로우 취약점(CVE-2015-0304, CVE-2015-0309)임의 코드 실행이 가능한 Type Confusion 취약점(CVE-2015-0303, CVE-2015-0306)메모리 주소 노출이 가능한 Out-of-bounds 읽.. 2015. 1. 16.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