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441

728x90
More about the JailbreakMe PDF exploit Today has been released the source code of the Jailbreakme exploit, so maybe this explanation comes a bit late. In the update of the previous post about this subject I knew that I was right about the overflow in the arguments stack when parsing the charstrings in the Type 2 format, so here is a little more info. After decoding the stream of the object 13 we can see the following bytes (talking a.. 2011. 2. 21.
Another Facebook Phishing Scam Run Phishing scams in Facebook. It's not new and it's not sophisticated. But they still catch the unwary and they're still happening now, with only minor tweaks in tactics. At 2010's end, we saw a run of phishing links being sent around via the chat feature. We're seeing a new run at the moment. The following links are sent (from hijacked accounts) through chat messages and posts on the Walls of ran.. 2011. 2. 19.
Bash Shell Shortcuts (쉘 단축키) Bash, which is the default shell in Linux contains a whole lot of key bindings which makes it really easy to use . The most commonly used shortcuts are listed below : ____________CTRL Key Bound_____________ Ctrl + a - Jump to the start of the line Ctrl + b - Move back a char Ctrl + c - Terminate the command Ctrl + d - Delete from under the cursor Ctrl + e - Jump to the end of the line Ctrl + f -.. 2011. 2. 18.
서버에 새 파일 형식 인식시키기: MS Office 2007 MIME 형식 등록 가이드 새로운 파일 형식을 서버에서 정상적으로 인식하고 처리하려면, 해당 확장자에 대한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형식 등록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서버는 해당 파일을 알 수 없는 형식 또는 압축 파일 등으로 잘못 인식할 수 있습니다. Windows Server, IIS, Apache 등 다양한 서버 환경에서의 등록 방법과 필수 MIME 목록을 정리합니다.1. MIME 형식이란?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파일 형식(콘텐츠 타입)을 정의하는 표준입니다. 예시.docx → application/vnd.openxmlformats-officedocument.wordprocessi.. 2011. 2. 16.
SecureOS(RedCastle)를 이용한 웹 서버 보안 강화 많은 기업들이 방화벽이나 IPS와 같은 네트워크 기반의 보안 솔루션을 도입하여 운영중인 서버들을 인터넷을 통해 시도되는 공격 위협으로부터 서버들을 보호하고 있다. 하지만 기업들도 어쩌지 못하는 취약한 구멍이 존재한다. 바로 기업의 홈페이지가 구동중인 웹 서버와 메일서버다. 그리고 기업들이 운영하는 B2B와 같이 인터넷에 공개할 수 밖에 없는 서버가 존재한다. 그리고 이렇게 인터넷에 공개되는 서비스들은 대부분 웹서버(TCP/80)로 운영되어 진다. 다른 서비스는 모두 차단되어 있지만 웹서비스를 수행하는 TCP/80은 기업으로서도 어쩔 수 없는 아킬레스건과 같은 존재다. 해커들은 이러한 아킬레스건을 절대 그냥 두지 않는다. Apache, Tomcat, Weblogic, Webtob, Jeus 등 수많은 웹 .. 2011. 2. 15.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