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보호45 728x90 2012년 개인정보보호관리체계(PIMS) 구축 및 운영 교육 신청하기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viewform?formkey=dDlKYWRqZHVzMzFXSUs0d3lMQjBkS0E6MQ 출처 : KISA 2012. 7. 20. 기업내 개인정보보호책임자의 전문성과 소양 정보서비스가 발달하는 만큼 해킹이나 개인정보 유출과 같은 침해에 대한 우려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정유사, 백화점 등의 대규모 해킹사고 이후 작년에는 금융기관의 개인정보도 유출됐고 최근에는 방송사의 개인정보 유출사고까지 지속적으로 언론을 통해 알려지고 있다. 과거의 해킹이 보안담당자가 책임지고 방어하는 전문적인 영역으로 인식되었다면, 최근의 해킹은 개인정보 유출로 이어지면서 담당자의 부주의와 개인정보의 관리 소홀 등 다양한 원인과 연계되어 전사적인 대책을 요구하는 문제로 확대되고 있다. 더 이상 정보보안 영역만의 일이 아니다 특히,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기업의 피해도 이미지 손실로 인한 매출 감소뿐 아니라 대규모 피해보상 소송으로 인한 금전적인 부담으로 이어지면서 기업의 생존을 위협하는 수준으로 확대되었.. 2012. 7. 4. 사업자 개인정보보호 10가지 원칙 출처 : 행정안전부 2011. 11. 3. 개인정보보호법 시행에 따른 10대 점검사항 ▲‘8차 CSO포럼’에 발표된 자료는 행정안전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운영하는 ‘개인정보보호 종합지원시스템(www.privacy.go.kr)’에서 내려 받을 수 있으며, 본 포털에서는 그 외에도 개인정보보호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1. 무분별한 개인정보 수집 자제 인터넷 쇼핑몰 등 대다수 업종은 물품을 구매하는 데 있어 주민등록번호나 생년월일은 필요치 않다. 불필요하게 주민번호 등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관리소홀로 인해 해킹 등 유출사고 책임이 크게 증가하므로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최소한의 개인정보 수집이 현명하다. 2. 개인정보 수집시 서비스제공에 꼭 필요한 필수정보와 선택정보 구분 고객정보 수집시 해당 서비스 제공과 관련 없는 개인정보(선택정보)를 수집하지 말.. 2011. 9. 28. 데이터베이스 보안 솔루션 도입 및 운영의 허와 실 개인정보보호의 필요성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보안 구축이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면서 관련 제품 도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많은 도입 사례에도 불구하고 실제 안정적으로 적용되어 운영되는 사례는 놀랍게도 드물다. 여기에는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살펴보고,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보안 솔루션은 이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개인정보보호와 관련된 흐름 2008년부터 2010년 최근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주요 개인정보 유출 사고의 내용을 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해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국내에서도 대규모개인정보 유출 사고를 겪으면서 기업들에게 보안 강화 조치를 의무화할 수 있는규제준수 법안(Compliance)의 필요성이 대두하였다. 그 결과로 2009년 1월 28일[정보통.. 2011. 7. 24. 이전 1 ··· 5 6 7 8 9 다음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