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155 728x90 개인 사용자를 위한 보안 수칙 1. 윈도우 OS 및 각종 응용 프로그램의 보안 패치를 설치한다. 2. 안티바이러스 프로그램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고, 실시간 감시 기능을 사용한다. 3. 출처가 불분명하거나 의심스러운 제목의 메일은 열어 보지 않는다.4. 메일이나 SNS 메시지에 존재하는 확인되지 않은 URL은 클릭하지 않는다.5. 전달받기로 한 파일 외에는 첨부 파일을 열어 보지 않는다. 6. 확인되지 않은 웹 페이지에 개인정보를 함부로 입력하지 않는다.7. Active X 설치를 요구할 경우 반드시 보안 경고 메시지를 검토한 후 설치한다. 8. 파일을 다운로드할 때는 최신 버전의 안티바이러스 프로그램으로 검사 후 사용한다.9. 인터넷 로그인 계정의 패스워드는 영문,숫자,특수 문자를 조합해 8자리 이상 설정하고, 주기적으로 변경한.. 2012. 10. 2. 스마트폰 ‘원격 초기화 취약점’ 관련 보안 업데이트 □ 개요 o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갤럭시 S계열 제품에서 특정 코드열이 포함된 웹 사이트를 접속하는 경우 강제로 초기화되는 보안결함이 발견됨에 따라 펌웨어 업그레이드 권고 o 스마트 폰으로 해커가 꾸며놓은 악의적인 웹 사이트에 접속할 경우, 사용자 스마트폰 내부 데이터 및 설정 등이 초기화 될 수 있음 o 따라서, 갤럭시 S계열 제품 스마트폰 이용자는 다음 내용을 참고하여 최신 운영체제 업데이트 적용 권고 □ 해당 시스템 o 영향 받는 기기 - 삼성 갤럭시 S2, S3, Note 전 제품 □ 해결방안 o PC에 삼성 Kies를 설치하고 스마트폰을 연결하여 최신 운영체제로 업데이트[1] - “연결 기기” 선택 → “기본 정보” 탭 선택 → “펌웨어 업그레이드” 선택 ※ 업데이트 실행 전에 사용자 데이터 백업.. 2012. 9. 28.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 원격 초기화 취약점 발견 삼성 갤럭시 시리즈 스마트폰의 원격 초기화 취약점이 발견되었다.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린 보안관련 행사인 ekoparty Security Conference에서 공개된 정보에 의하면 USSD(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s Data) 프로토콜의 취약성을 이용하면 삼성 갤럭시 시리즈 스마트폰에 원격으로 접속, 저장된 데이터를 완전히 삭제하는 공장 초기화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컨퍼런스 현장에서 갤럭시 스마트폰에 원격 접속해서 공장 초기화로 데이터를 날려버리는 과정이 시연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스마트폰이 조작된 웹사이트나 QR코드, NFC 태그 등에 접속했을 때에 원격접속을 위한 악성코드가 사용자 몰래 저장되어야 한다. 테스트에 사용된 기기 중 구버전 안드로이.. 2012. 9. 26. 권한점검 기능 추가한 `스마트폰 보안 앱` 방통위, 이통3사ㆍ구글 통해 보급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 3000만명 시대를 맞아 지난해 9월에 선보인 `스마트폰 보안 자가점검 앱(에스에스체커)'의 기능을 강화해 이통3사와 구글 애플리케이션 마켓을 통해 새로 보급한다고 3일 밝혔다. 에스에스체커는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개발한 스마트폰 보안 애플리케이션이다. 스마트폰의 비밀번호(패턴)설정 및 백신 설치 여부, 설치프로그램의 악성코드 감염 여부 등을 점검하며, 보안에 취약한 부분을 이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조치할 수 있도록 안내해 준다. 이번 기능 개선에서 메인 화면에 스마트폰 보안 관련 정보를 보이도록 하는 `보안공지' 기능을 추가했다. 또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이 사용상 목적과 다른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이를.. 2012. 9. 5. 모바일 전자정부서비스 앱 소스코드 보안성 검증 안내서(V2.0) 정보보호정책과-2097(2012.8.3, 모바일 앱 소스코드 보안성 검증 안내서 보급), 미래정보화과-1556(2011.9.5 ) 및 미래정보화과-910(2012.5.9, 모바일 전자정부 관련 가이드라인 2종 배포)호와 관련입니다. 행정기관등이 안전한 모바일 서비스를 개발하여 각종 사이버위협으로부터 예방ㆍ대응코자 함 SW 개발단계부터 보안약점을 제거하는 'SW 개발보안 의무화’ 및 '모바일 전자정부 지원센터 개소('12.5.10)’에 따른 『앱 소스코드 보안성 검증 안내서』를 개정ㆍ보급하오니 적극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ㅇ 적용 대상 : 중앙ㆍ지자체의 신규 개발되는 모든 모바일 앱(하이브리드 앱 포함) ㅇ 가이드 내용 : 앱 소스코드 보안성 검증 기준ㆍ절차 등을 안내 ㅇ 검증 기관 : 한국인터넷진흥원(KI.. 2012. 8. 13.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31 다음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