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화62

728x90
스마트 홈 네트워크 인프라 Uptime Kuma 모니터링 통합하는 깔끔한 방법 Uptime Kuma는 오픈소스 기반의 자체 호스팅 모니터링 도구입니다. HTTP, TCP, Ping, Docker 등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아름답고 직관적인 UI와 빠른 반응속도를 갖추고 있어 개인 및 기업의 시스템 상태 모니터링에 적합합니다.아래에 Uptime Kuma의 기본 활용 방법입니다.개요 및 주요 특징무엇을 위한 도구인가요?서버/서비스의 가용성(UP/DOWN 상태)을 실시간 모니터링Slack, Telegram, Email 등 다양한 경고(알림) 채널 지원다중 상태 페이지 생성 가능 (예: 고객용 상태 대시보드)지원하는 모니터링 유형타입설명HTTP(s)웹사이트 응답 체크TCP포트 열림 여부 확인 (예: SSH, DB 등)PingICMP를 통한 가용성 확인Docker컨테이너 상태 확인DN.. 2025. 8. 12.
Windows PC를 HASS.Agent 통해 Home Assistant 센서 등록 및 제어 HASS.Agent는 Windows PC를 Home Assistant 생태계에 완벽하게 통합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핵심 기능🎵 미디어 플레이어: PC 음악/동영상 제어📊 시스템 센서: CPU, 메모리, 디스크 사용량 모니터링🔔 알림 시스템: Home Assistant → PC 알림 전송🎮 원격 제어: 앱 실행, PC 종료/재시작, 화면 잠금🔊 TTS: 텍스트를 음성으로 PC에서 재생시스템 구성도1️⃣ Home Assistant 준비MQTT 브로커 설치 (Mosquitto)설정 → 애드온 → 애드온 스토어 → Mosquitto broker# Mosquitto 설정 예시logins: - username: mqtt_user password: secure_passwordanonymous: fal.. 2025. 8. 10.
AI와 함께하는 기획자의 하루: 실전 프롬프트 예시로 보는 업무 방식 변화 AI 기술의 약진 속에서 "AI가 기획자를 대체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은 개발자뿐만 아니라 많은 기획자에게도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Cursor AI와 같은 AI 기반 자동화 코드 편집기의 등장으로 이러한 논의는 더 확산되고 있습니다.AI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업무 자동화AI 기술의 주요 특징자연어 처리(NLP), 생성형 AI, 코드 생성 등에서 GPT-4, Gemini 1.5 Pro 등 고도화된 모델이 등장AutoGPT, Cursor AI, GitHub Copilot 등을 통한 코딩 자동화Notion AI, ChatGPT, Claude, Lovelable 등으로 기획/문서화 자동화 실현확산 분야개발, 마케팅, 콘텐츠, 운영, 기획 등 비정형 업무까지 자동화 확장특히 기획자는 문서 기반, .. 2025. 8. 8.
Wazuh & Osquery 보안 에이전트 패키지 배포 내부 yum 저장소 구축 osquery와 wazuh agent 패키지를 로컬 시스템에 미러링하고, 내부 시스템에서 yum을 통해 설치/업데이트할 수 있는 도커 기반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입니다.패키지 미러링 시스템 아키텍처디렉토리 구조repo-mirror/├── docker-compose.yml├── nginx/│ ├── Dockerfile│ └── nginx.conf├── sync/│ ├── Dockerfile│ ├── sync-repos.sh│ └── crontab├── data/│ ├── repos/│ │ ├── wazuh/│ │ └── osquery/│ └── gpg-keys/└── scripts/ └── init-repos.shDocker Compose 구성docker-comp.. 2025. 8. 8.
실시간 시크릿 탐지와 환경변수 보안을 완성하는 DevSecOps 듀오 (Kingfisher × Varlock) 🔐 Kingfisher × Varlock: 실시간 시크릿 탐지와 선언적 환경변수 보안 관리의 정수민감정보는 유출되는 순간부터 보안사고로 이어집니다.Kingfisher는 유출된 시크릿을 탐지/검증, Varlock은 유출 자체를 막고 협업을 강화합니다.이 둘은 DevSecOps의 완벽한 파트너입니다.기존 .env 방식의 한계와 보안 리스크.env 파일은 널리 사용되지만 다음과 같은 심각한 보안/유지관리 문제가 있습니다.항목문제점❌ 정적 타입 없음"true"도 문자열로 인식되어 코드 혼란 초래❌ 유효성 검증 없음오타/누락 발생 시 런타임 오류❌ 일관성 부족.env.example과 실제 .env가 불일치 가능❌ 노출 위험로그/오류 메시지 등에서 값이 드러날 수 있음❌ 시크릿 분리 불가민감 정보와 일반 값 혼재.. 2025. 8. 7.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