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500

728x90
크리덴셜 스터핑: 당신의 비밀번호를 노리는 자동 공격 “3단계 보안 습관” 한 번의 로그인으로 무너지는 일상 “비밀번호 재사용이 왜 위험할까?” 현실 사례로 보는 크리덴셜 스터핑 요즘 급증하고 있는 크리덴셜 스터핑(Credential Stuffing) 공격을 일반 이용자 관점에서 이해하고, 실제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보안수칙을 알아봅니다. 복잡한 보안 용어는 쉬운 설명으로, 필요한 조치는 체크리스트로 담았습니다.1. 크리덴셜 스터핑이 뭐예요?유출된 아이디·비밀번호(자격 증명, Credential)를 공격자가 자동 프로그램으로 여러 사이트에 마구 대입(Stuffing) 하며 로그인에 성공하는 공격이에요. 왜 위험할까요?많은 사람이 여러 사이트에서 같은 비밀번호를 써요.과거에 A사이트에서 유출된 비밀번호가, B·C사이트에도 통하면 한 번에 여러 계정이 털릴 수 있어요.자동화 도구.. 2025. 10. 24.
돈보다 중요한 건 ‘판단력’ 초등 시기 경제교육으로 소비 습관 바로 세우기 자녀가 용돈을 모아두고 “내 돈이니 마음대로 쓸래”라고 하는 모습은 자연스러운 ‘경제적 자율성의 시작’ 단계이지만, 소비 개념과 자기조절 능력이 충분히 발달되지 않은 시기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억지로 막기보다는, 스스로 판단하고 배우게 도와주는 방식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아래는 단계별 접근법입니다.1️⃣ 자녀의 관점 이해하기 — “내 돈인데 왜 안 돼?”아이 입장에서는 ‘내가 벌거나 받은 돈 = 내 소유물’이라는 인식이 강합니다.하지만 소비의 자유는 책임과 함께 온다는 개념은 아직 낯섭니다.👉 먼저 부정하지 말고 공감으로 시작하세요.“맞아, 네가 받은 돈이니까 네가 어떻게 쓸지 고민하는 게 당연하지. 그런데 돈을 쓰는 데에도 계획이 필요해.”이렇게 공감 → 대화의 문을 여는 방식이 좋습니다.처음부터 “.. 2025. 10. 23.
콜백은 잊어라! jQuery AJAX의 Promise 기반 진화한 비동기 표준 처리 한눈에 보는 핵심 변화(요약)콜백 메서드 제거 → Promise 체인 정착jqXHR.success() / error() / complete()는 jQuery 3.0에서 제거되었습니다. 이제 jqXHR.done() / fail() / always() 같은 Promise 인터페이스(jQuery Deferred 기반)를 사용합니다.jqXHR = Promise 인터페이스 제공$.ajax()가 반환하는 jqXHR는 Promise 메서드(.done/.fail/.always/.then)를 지원합니다. 콜백을 여러 개 등록하거나 요청 후에도 등록할 수 있습니다.async:false(동기 요청) 사용 지양기본값은 계속 비동기(async:true)이고, 동기 요청은 경고 및 비권장입니다(UX 저하, 메인 스레드 블로킹)... 2025. 10. 22.
데이터 복원력 확보를 위한 지능형 DR 전환과 AI 클라우드 백업과 재해복구 백업·복구·DR 전환의 필요성과 핵심 원칙왜 지금인가대규모 물리·클라우드 장애가 반복되고 있습니다. 단일 저장소·백업 부재·이중화 미흡 같은 구조적 취약점은 한 번의 사고로 대규모 업무 중단과 데이터 소실로 이어집니다. 이제 업무 연속성(BCP)과 재해복구(DR)를 보안·운영의 기본 전제(secure-by-default, resilient-by-design)로 통합해야 합니다.목표① 핵심 서비스 무중단/신속 복구, ② 데이터 무결성·가용성 보장, ③ 운영 가시성·자동화로 복구 신뢰도를 계량화(SLO)합니다.→ 지표: RTO(복구시간), RPO(복구시점), 복제 지연, 스냅샷 성공률, 복원 시험 통과율.핵심 원칙(요지)SPOF 제거: 물리·논리적으로 분리된 다중 사이트/다중 복제3-2-1-1 백업 규칙: .. 2025. 10. 21.
정보보호 거버넌스 중심의 ESG 경영관리 평가체계 및 보안 평가항목 가이드 ESG(환경(Environment)·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 경영관리에서 평가항목은 표준화된 틀은 없지만, 주요 ESG 평가 기관 및 국내 가이드라인들을 참고하면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핵심 항목들이 있습니다. 아래에 ESG 경영관리에서 자주 쓰이는 평가축과 세부항목들을 개념, 점검 포인트, 활용 사례입니다.ESG 평가체계의 기본 구조 및 배경ESG는 비재무 요소를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리스크 관리 관점에서 점검하는 틀입니다.다양한 ESG 평가 기관(예: MSCI, Sustainalytics, 국내 한국기업평가, KCGS 등)의 모델이 있으나, 각 기관마다 가중치, 세부지표, 정성평가 방식 등이 다릅니다.국내에서는 K-ESG 자가진단 가이드라인 등도 제시되어 있으며, 27개 사회가치.. 2025. 10. 20.
728x90
728x90